- 영문명
-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Safety education Program school age childr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수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1호, 197~20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학령기 안전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연구들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통해 안전교육의 전반적인 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2021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 중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있는 실험연구 중 13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13편의 연구에서 전체 소연구 33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해 통계적 변환을 통해 안전교육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R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학령기 아동안전교육 프로그램은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안전지식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안전교육 프로그램 중 활동⋅참여 중심 프로그램, 동화⋅독서 활용 프로그램, 시청각자료 활용한 강의중심 프로그램, 웹기반 프로그램 순으로 안전교육의 효과가 나타났다. 또 저학년, 31명 이상, 6-10회기 정도로 프로그램이 진행될 때 안전교육의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학령기 안전교육에 효과적인 활동⋅참여 중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아동의 안전지식뿐만 아니라 안전행동, 안전태도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도 효과적인 매체의 선택을 통해 학령기 안전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overall effect of safety education through meta-analysis targeting studies related to effective school-age safety education program. Methods When the safety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as an experimental stud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13 papers published in Korea by 2020 were chosen for this reason. All 33 full studies'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nd a meta-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tatistical transformation. Results The school-age child safety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and in particular, safety knowledge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Among the child safety education programs, the effectiveness of safety education was found in the following order: activity and participation-oriented programs; assimilation and reading utilization programs; lecture-oriented programs using audiovisual materials; and web-based programs. Conclusions By focusing on activities and participation-oriented programs for school-age safety education, the effectiveness of school-age safety education can be maximized through effective media selection in developing programs to improve safety behaviors and attitudes as well as children's safety knowledg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