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nalysis of Muscle activity on the Kick-up motion by Walking on an Horizontal Bars in Gymnastics for Male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철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1호, 189~19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철봉 한발 걸어 차오르기 동작 시 각 근육별 근활성도 차이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동작 수행력의 표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선수경력 5년 이하의 중학교 남학생 7명(나이: 15.0±0.5세, 신장: 159.6±4.2cm, 체중: 52.5±3.09kg)을 대상으로 표면근전도(sEMG)를 활용하여 성공과 실패에 따른 차이, 예비흔들기 동작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첫째, 한발 걸어 차오르기 동작 성공 여부에 어깨근육인 삼각근과 손목 굴곡근인 요측수근굴근의 근활성도 차이는 없었다. 둘째, 한발 걸어 차오르기 성공 여부에 상완이두근과 복직근이 작용하였고, 성공 시 복직근은 높았고 상완이두근은 낮았다. 셋째, 예비 흔들기 후 차오르기 동작 시 근활성도 개입은 요측수근굴근< 삼각근< 상완이두근< 복직근 순으로 나타났고, 상완이두근과 복직근의 개입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결론 종합해보면 철봉 한발 걸어 차오르기 동작 시 각 관절의 근활성도 차이에 따라 성공여부가 나타났고, 그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에서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운동학적 변인과의 관련성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으며, 성공과 실패 요인을 확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ample of efficient movement performance 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for each muscle during the kick-up movement by walking with one leg of the horizontal bar. Methods For this purpose, 7 middle school male students (age: 15.0±0.5 years old, height: 159.6±4.2cm, weight: 52.5±3.09kg) with less than 5 years of playing experience were subjected to surface electromyography (sEMG) to determine the results of success and failure. Differences and differences with preliminary shaking mo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uscle activity of the deltoid muscle, the shoulder muscle, and the carpal flexor carpi, the wrist flexor, in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kick-up operation. Second, the biceps brachii and rectus abdominis acted on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kick-up, and upon success, the rectus abdominis muscle was high and the biceps brachii was low. Third, the intervention for muscle activity during the kick-up movement after preliminary shaking was shown in the order of the carpal flexor < deltoid < biceps brachii < rectus abdominis, and the involvement of the biceps brachii and rectus abdominis was relatively high. Conclusions In summary, success was show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each joint during the kick-up motion by walking with one leg of the iron bar, and its importance was confirmed. In future research related to thi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kinematic variables targeting many subjects, and studies to confirm success and failure factors should be conduc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