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Historical Value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ocial Equality Move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성진 구경남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1호, 63~8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형평운동의 연구 동향 및 그 성격을 바탕으로 역사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형평운동의 역사적 가치와 교육적 의미를 재고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형평운동의 연구 동향을 추적하여 형평운동의 성격을 두 가지로 범주화하였다. 주된 연구 흐름은 민족해방운동의 성격을 강조하여 민족을 중심에 둔 경우이고, 다른 흐름은 차별 타파 운동에 주목하여 시민적 가치를 중요하게 다룬 경우다. 민족적 가치와 시민적 가치를 기준으로 역사 교육과정(7차, 2009 개정, 2015 개정) 및 교과서(2015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 서술을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검토한 결과 먼저 역사 교육과정(7차 ‘한국 근⋅현대사’, 2009, 2015 개정 ‘한국사’)에서 형평운동은 민족해방운동의 성격을 강조하여 민족적 가치를 우선하였다. 다만 단원 편제와 성취기준에서 형평운동을 점차 사회운동 차원에서 접근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역사 교과서(2015 고등학교 한국사) 서술은 형평운동과 일제의 대립 구도를 중심으로 한 민족해방운동 관점이 지배적이었으나, 형평운동을 사회운동으로 접근하여 시민적 가치에 주목한 서술이 등장했다. 결론 형평운동의 역사적 가치를 재고함으로써 시민교육으로서 형평운동의 교육적 의미를 제고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reconsider the historical value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ocial equality movement by analyzing the history curriculum and textbooks based on the research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Methods To this end, the research trend of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was follow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were categorized into two categories. The main research flow is the case of emphasizing the nature of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and focusing on the nation, and the other trend is the case of focusing on the movement to overcome discrimination in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and treating civic values as important. The descriptions of the history curriculum (7th, 2009 revision, 2015 revision) and textbooks (2015 revision high school Korean history) were analyzed based on national values and civic valu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review in this study, first, in the history curriculum (7th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2009, 2015 Revised Korean History),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emphas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giving priority to national values. However, there was a change that gradually approached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in terms of social movement in terms of unit organization and achievement technology. Next, in the history textbook (2015 High School Korean History), the view of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centered on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and the Japanese Empire was dominant, but a narrative focused on civic values by approaching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as a social movement appeared. Conclusions By reconsidering the historical value of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as a citizenship education is improved.
목차
Ⅰ. 서론
Ⅱ. 형평운동의 연구 동향으로 본 성격
Ⅲ. 형평운동 관련 내용 분석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