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Digital English Textbook-based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TC and Cultural Sensitiv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소연 김정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1호,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어 디지털 교과서에서 제공하는 문화활동을 기반으로 하여 국제교류 협력학습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진행하고 국제교류 협력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4~5학년 학생들의 영어의사소통의지(WTC) 및 문화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 및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대전 소재 초등학교 4~5학년 18명의 학생을 국제교류동아리로 구성하고 2021년 3월 ~ 11월, 8개월에 걸쳐 국제교류 협력학습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구조화된 의사소통의지(WTC) 및 문화 민감도 설문지를 사전, 사후로 투입하여 분석하고, 학습자의 사후 자율서술형 응답 및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영어 디지털 교과서 기반 국제교류 협력학습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영어의사소통의지의 빈도 부분과 문화 민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사후 자율서술형 문항 및 면담에서 긍정적인 답변 및 도움이 되었던 부분에 대한 의견이 많았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영어 디지털 교과서를 기반으로한 국제교류 협력학습 프로그램을 현장에 폭넓게 적용하여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의지 및 문화 민감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수업 개발 및 후속 연구의 기반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nduct international exchange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based on cultural activities provided by English digital textbook and to investigate students’ responses and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4th to 5th grades on WTC and cultural sensitivity. Methods After 18 students in the 4th to 5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participated in the activity for 8 months from March to November 2021, followed by pre and post structured WTC and cultural sensitivit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learners' follow up responses and interviews. Results The international exchange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based on English digital textbook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WTC frequency and cultur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re were many positive and helpful responses in post survey and interviews.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nternational exchange cooperative learning programs based on English digital textbooks will be widely applied to the field to develop various classes and follow-up studies to improve students' English WTC and cultural sensitiv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