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ta-analysis of teacher variable affecting young children teacher-children intera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혜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0호, 997~101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누리과정의 시작 시점인 2012년부터 2020년까지의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변인들에 대한 연구를 가지고 메타분석을 통해 축적된 연구결과들을 종합하고 지금까지의 연구들의 성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20년까지의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변인들에 대한 연구를 가지고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을 하기 위해 상관계수로 영향을 나타낸 연구만을 수집하였다. 또한 동일한 변인에 대해 2개 이상의 연구가 있는 연구만을 수집하였다. 결과 그 결과 메타분석을 위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논문은 52편이었다. 또한 17개의 변인과 83개의 효과크기를 도출하였다. 17개 변인의 전체 평균 효과 크기는 큰 효과 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변인의 개별효과 크기를 살펴 본 결과 교수 창의성, 민감성, 전문성 발달, 전문성 인식, 교수 몰입, 인성, 셀프리더십, 교수 효능감, 정서지능, 회복탄력성, 놀이 교수 효능감, 직무만족, 행복감, 창의적 인성, 사회적 지지, 교사의 놀이성, 직무스트레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변인에 대해 기존의 연구와 이론적 주장들을 경험적으로 뒷받침하였다. 또한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사교육 및 프로그램 구성의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research results accumulated through meta-analysis with a study on the teacher variables affecting the young children teacher-children interaction from 2012 to 2020, the starting point of the nuri curriculum, are synthesized, an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re analyzed. Methods For this purpose,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study on the teacher variables affecting the young children teacher-children interaction from 2012 to 2020. For meta-analysis, only studies showing the effect of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ollerted. In addition, only studies with two or more studies on the same variable were collected. Results As a result 52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for meta-analysis. in addition, 17 variables and 83 effect sizes were derived. 17 variables overall average effects size was large.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size of the variables affecting the young children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ing creativity, sensitivity, professional development, professional recognition, teaching commitment, personality, self-leadership, teaching efficacy,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play teaching efficacy, job satisfaction, happiness, creative personality, social support, teacher's play ability, and job stress were found to be high in the order. Conclusions through these results, the existing studies and theoretical claims are empirically supported on the teacher variables that the young children teacher-children interaction.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and program composition to improve young children teacher-children interaction was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