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Delphi Study on K University’s Learning Analytics Dashboard Desig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미화 이재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0호, 781~79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국내 K대학 교내 전문가들의 요구와 의견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맞춰 LMS 내에서 교수자와 학습자들에게 제공되는 대시보드 설계에 필요한 요소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대시보드 설계에 필요한 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문헌연구, 사례연구, FGI 결과를 바탕으로 델파이 조사지가 개발되었으며 이 조사지를 바탕으로 델파이 조사가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K대학의 교육환경 및 운영체제, 제공되고 있는 교육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있는 전임교원, 보직자, 연구교수 등 K대학 교내 전문가 11인이었으며 델파이 조사는 2차에 걸쳐 실시되었다. 결과 두 차례에 걸친 델파이 조사 결과 학생들의 성공을 지원하기 위해 대학에서 제공해야 하는 대시보드는 토탈 학습자 개인 대시보드, 토탈 교수자 개인 대시보드, 교과목별 학습자 대시보드, 교과목별 교수자 대시보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자와 교수자 대시보드를 구성하는 요소와 수집 데이터는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대학에서 학습분석을 기반으로 한 대시보드를 제공하고자 할 때, 학생과 교수자에게 각각 적합한 요소를 구분하여 제공하여야 하며. 이는 대시보드가 기존의 교과목 중심으로 제공되었던 것에서 벗어나 학습뿐만 아니라 학생의 역량, 진로, 취업과 관련된 정보 등 학생 성공과 관련된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효과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necessary elements and data for designing a learning analytics dashboard which will be provided to instructors and students at K University. Methods To derive the elements needed to design dashboards, a Delphi survey paper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and FGI results. Then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with a group of experts who work for K University, including full-time professors, the leaders of administration departments, and research professors. The expert group members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operating systems of K University. Results The Delphi survey found that the dashboards that universities should provide to support students' success should be divided into the total learner personal dashboard, the total instructor personal dashboard, the learner dashboard by subject, and he learner dashboard by subject. Also, the components and collection data of the dashboards of learners and instructors were found to be different. Conclusions When universities intend to provide learning analytics dashboards in line with the change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areas suitable for students and instructors should be constructed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visually present all essential information related to student success, such as student competency, career, and employment, as well as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