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ign Language Education as Cognitive Academic Language: Focusing on the ‘Japanese Sign Language(JSL)’ Curriculum and Textbooks of Meisei Gakuen in Japa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곽정란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0호, 611~62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언어라는 관점에서 이중언어⋅이중문화 농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일본의 메이세이학원의 ‘수어’ 교과 교육과정 및 교재를 분석하여 한국의 농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학습언어의 개념과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메이세이학원의 유치부, 초등부, 중등부 ‘수어’ 교육과정 및 교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유치부 ‘수어’ 교육과정은 농아동의 수어 능력의 차이를 고려하여 의사소통 언어로서의 수어 능력을 발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수어 교재는 수형 카드와 분류사 교재를 통해 수어에 대한 언어 감각을 기르도록 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부 ‘수어’ 교육과정은 언어적⋅인지적⋅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 학습 수어 능력을 종합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수어 교재는 농문화와 수어 문법을 체계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셋째, 중등부 ‘수어’ 교육과정은 언어적⋅인지적⋅사회문화적인 측면의 학습 수어 능력을 심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수어 교재는 수어언어학을 익혀 수어에 대한 인식을 심화하도록 하고 있었다. 넷째, 한계점으로는 수어 교육과정 및 수어 교재가 연령별, 학년별 수준 차이를 충분히 고려하고 있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결론 한국수어를 교수⋅학습언어로 사용하기 위한 학습수어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deaf education of Korea by analyzing the ‘Japanese Sign Language(JSL)’ curriculum and textbooks of Meisei Gakuen in Japan, which provides bilingual and bicultural deaf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academic language.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Meisei Gakuen's kindergart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JSL’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academic language. Results First, the ‘JSL’ curriculum in kindergarten was designed to develop sign language skills as a basic communicative skills by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sign language proficiency of deaf children. Sign language textbooks were designed to develop a sense of language for sign language through sign shapes cards and classifier textbooks. Second, the elementary school ‘JSL’ curriculum was designed to comprehensively develop the cognitive academic sign language ability in linguistic, cognitive, and socio-cultural aspects. Sign language textbooks are structured to systematically develop deaf culture and sign language’s grammar. Third, the ‘JSL’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was structured to deepen the cognitive academic sign language ability in linguistic, cognitive, and socio-cultural aspects. Sign language textbooks were designed to deepen awareness of sign language by learning sign language linguistics. Fourth, as a limitation, there was an aspect that the sign language curriculum and sign language textbooks did not sufficiently consider the level difference by age and grade. Conclusions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cognitive academic sign language curriculum for using Korean sign language as a teaching-learning language was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학습언어와 수어교육
Ⅲ. 학습언어로서의 ‘수어’ 교육과정 및 교재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