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School Experience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Graduates in Social Integration Admission Poli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슬기 양정호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0호, 437~45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외국어고등학교에서 사회통합전형 제도의 실제 교육적 효과와 운영 과정에서의 보완점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K(가칭)외국어고등학교 사회통합전형학생 7명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동안의 경험과 그러한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고,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외국어고등학교의 사회통합전형에 대해 7명 모두 학생의 성장환경과 주변 진학 사례의 영향을 받는 입학 준비 과정, 기숙생활로 인한 안정, 교육복지정책을 통한 위로, 내면적 성장에 대한 만족, 외국어고등학교 졸업생으로서 외국어 능력에 대한 자신감과 같은 공통적인 의견을 나타내었다. 결론 외국어고등학교 사회통합전형은 학생들에게 입학과정, 학교생활, 졸업 후로 다음과 같이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첫째, 입학과정에서 가정과 교사의 관심 그리고 주변의 진학사례가 중요하게 작용하나, 입학전형을 위한 사교육은 불필요하였다. 둘째, 학교생활에서 가정의 취약성을 보완하는 학교의 기숙생활과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재정적⋅문화적 혜택들을 통해 우리나라 교육복지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졸업 후 영향으로는 외국어고등학교의 교육과정과 학교시스템을 통해 대학 진학 성과와 내적 성장에 대해 만족하였고, 대학에서 학업 자신감이 상승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회통합전형 제도의 보완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ctual educational effect of the social integration admission policy i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and to suggest the complementary points in the operation process. Method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the experiences of school life and the meaning of those experiences for 7 students of social integration screening at K (pseudonym nam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Results On the social integration admission policy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all seven students expressed common opinions, such as the admission preparation process affected by the student's growth environment and surrounding cases, stable boarding life, educational welfare policy to comfort me, satisfaction with internal growth, and confidence in foreign language ability as graduates.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social integration admission policy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had the following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in the admission process, school life, and after graduation. First, the interest of families and teachers in the admission process and the cases of going to school around them play an important role, but private education for admission was unnecessary. Second, they had a positive perception of Korea's educational welfare through the school's boarding life that supplements the vulnerability of the family in the school life and the financial and cultural benefits that support the vulnerable. Finally, as an influence after graduation,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college entrance performance and internal growth through the curriculum and school system, and their academic confidence increased in college. Through these results, the complementary points of the social integration admission policy were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