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Depression on the Academic Performanc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Participati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Academic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효식 이선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0호, 317~33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가정 기반 참여도, 학교 기반 참여도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결혼만족도, 우울)이 부모 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우울이 부모 참여(가정 기반 참여, 학교 기반 참여), 교사-학생 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초등학생의 학업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경험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12차(2019년) 자료의 어머니-자녀 486쌍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12차(2019년) 자료는 2008년 출생 신생아가 초등학교 5학년이 되는 시점이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가정 기반 참여도, 학교 기반 참여도에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5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우울, 부모 참여(가정 기반 참여, 학교 기반 참여), 교사-학생 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수행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가정 기반 참여도 수준이 학교 기반 참여도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자녀의 성별에 따른 가정 기반 참여도, 학교 기반 참여도의 상호작용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우울에 부적인 영향, 가정 기반 참여도와 학교 기반 참여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어머니의 우울은 가정 기반 참여도, 학교 기반 참여도, 교사-학생 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결혼만족도는 가정 기반 참여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수행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결혼만족도는 가정 기반 참여도를 매개로 학업수행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교사-학생 관계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쳤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높임으로써 교육 활동 참여, 물리적 교육 환경 조성 등의 적극적인 가정 기반 참여를 이끄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plore differences in level of family-based participation and school-based participation of mothers who have 5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demonstrate how the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depression) affect parental participation. The study also looked at the effects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depression, parental participation (family-based participation, school-based participation),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on academic efficacy and performance of their children. Methods Using 486 pairs of mother and their children who become on 5th grader in elementary school in 2019, the 12th year Panel Study on Korea Children(PSKC), Repeated Measures ANOVA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in family-based participation and school-based participation. Also, how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depression, and school participation relate to children’s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cademic 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s were explor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As resul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mothers reported higher family-based participation than the school-based participation, and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family-based and school-based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gender. Seco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had a negative relationship on depression, and a positive relationship on both family-based and school-based participation. Nonetheless, mother's depression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to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performance of their children. Third, the marital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to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family-based particip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 marital satisfaction also reported a positive relationship to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family-based participation.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ffected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 Conclusions The study imply that it is important to induce mothers’ active family-based participation by increasing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