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Factors Affecting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Learner-Centered Instruction in Teacher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민효 남창우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0호, 141~15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해 교사교육에서 교수⋅학습 환경 지원, 학습평가 지원, 학생지도 지원이 교수설계 지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역량개발을 위한 교수자의 프로그램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부산 광역시에 소재한 4년제 종합대학인 A대학의 교직관련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자(N=65)를 대상으로 교수설계 지원, 교수⋅학습 지원, 학습평가 지원, 학생지도 지원과 교수자 역량 개발을 위한 요구에 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여 교수⋅학습 환경 지원, 학습평가 지원, 학생지도 지원 변인이 교수설계 지원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살펴보았다. 결과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설계 지원, 교수⋅학습 환경 지원, 학습평가 지원, 학생지도 지원에 관한 요구 중 교수설계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수⋅학습 환경 지원, 학습평가 지원, 학생지도 지원이 교수설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수⋅학습 환경 지원이 미치는 여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자 역량 개발을 위한 교수자의 프로그램 요구도를 살펴보면 교수법 특강 및 워크숍이 가장 높았다. 결론 분석 결과로부터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양성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들의 수업설계에 대한 어려움과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 수업설계에 대한 교수자들의 요구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해 교수자들이 교수⋅학습 방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특히 교수법 특강 및 워크숍에 대한 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support, learning evaluation support, and student guidance support in teacher education for learner-centered classes, an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instructors' programs for competency development. Method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needs of instructional design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learning evaluation support, student guidance support, and instructor competency development at A University, a four-year general university located in Busan. For the collected data,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support, learning evaluation support, and student guidance support variables affect teaching design suppor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demands for instructional design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support, learning evaluation support, and student guidance support, the demand for instructional design was the highes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support, learning evaluation support, and student guidance support on teaching design, it was found that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support had the greatest influence. Third, looking at the instructor's program requirement for the development of instructor competency, special lectures and workshops on teaching methods were the highest. Conclusions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demand of instructors increase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instructional design and social necessity for effective instruction and difficulty in instructional design of prospective and incumbent teachers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Second, it can be seen that instructo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learner-centered classes,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high demand for special lectures and workshops on teaching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