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athletics start function through the provision of epidemiologic analysis learning materials for preliminary elementary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수남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0호, 115~12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육상 스타트 기능 향상에 관한 목적으로 육상 스타트 학습과제를 수행하고 수업참여 4주후에 기록, 보폭, 각도변인 등의 분석을 통해서 스타트 기능 향상에 관한 정량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방법 본 연구의 실험은 무선구간속도 측정, 동작분석 프로그램 등을 통해서 수업참여 전후의 구간 기록, 비행시간, 보폭, 신체분절의 각도변인을 그룹별로 비교하였다. 결과 구간별 속도변화에서는 수업참여 후의 변화는 A, B그룹 모두 기록단축이 이루어졌고, B그룹에서 상대적으로 빠른 기록단축을 보였다. 스타트 동작의 비행시간은 A그룹이 상대적으로 빠른 소요시간을 나타냈고, 보폭에서는 B그룹이 상대적으로 큰 전방의 거리를 나타냈다. 신체분절의 각도변인은 A그룹에서 전⋅후경, 몸통, 무릎각도에서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각을 나타내고 있다. 결론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수업참여 후에 단거리 구간별 기록이 단축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역학분석 학습자료를 제공받고 이루어진 크라우칭 스타트에 대한 수업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육상종목에서 역학분석 학습자료를 분석하고 적용하는 교수학습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quantitative information on the improvement of start function through analysis of record, stride length, angle variable, etc. 4 weeks after performing the land start learning task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land start function. Methods The period of this study was from March 2021 to December 2021 (research project execution), and from February 2022 to June 2022 (image analysis and data arrangement). The experiment compared group records, flight time, stride length, and angular variables of body segments before and after class participation through wireless section speed measurement and motion analysis program. Results In terms of speed change by section, record shortening was achieved in both groups A and B, and group B showed a relatively rapid shortening of records after class participation. As for the flight time of the start motion, group A showed a relatively fast required time, and in stride length, group B showed a relatively large forward distance. The angle variables of body segments showed relatively effective angles in the anterior/posterior view, torso, and knee angles in group A. Conclusion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showed shorter records for each short-distance section after participating in class. These results were able to verify the effect of the class on the crouching start that was provided with the epidemiological analysis learning material. In the follow-up study, research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that analyzes and applies epidemiologic analysis learning data in various athletics should be conduc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