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and Need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Focusing on the Revised IPA, Borich Priority Formula and Thematic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장유진 남교민 박현지 송지훈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6권 제5호, 333~34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국문 초록
변화하는 사회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대학에서도 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역량중심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대학생 만족도 및 요구도를 확인하여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 진행을 위해 K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4주간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1,160개의 응답을 연구에 활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첫째,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수정된 IPA로 분석한 결과, 단계별⋅수준별 교과목 구성의 만족도와 상대적 중요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양교과목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결과 융복합, 의사소통, 정보기술활용, 진로탐색 및 경력개발 영역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개방형 응답의 주제분석을 통해 스포츠, 공학, 외국어, 심리학, 금융경제 관련 주제 요구가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역량중심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결과, 창의적 실행능력, 개방적 탐구심, 시민의식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역량중심 교양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시 교수자, 학과, 대학에서 고려해야 하는 교과목 주제, 교육과정 관련 교육, 중장기 계획 및 로드맵 수립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s society changes in its demands of human resources with various competencies, the effort for improving the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is provided by centering the curriculum on a college gener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satisfaction and needs of college students with a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list the implications of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such a curriculum.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students at K University using an online survey over the course of four weeks, involving the responses of 1,160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among students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with the revised IPA analysis, both the satisfaction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ourse composition in both stage and level were high.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ducational needs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the demand for convergent, communication, utilizing information technology,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development domains were high. Also, we confirmed through open questions with thematic analysis that the demand for sports, engineering, foreign language, psychology, financial and economy-related subjects was high.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ducational needs of a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e demand for creative execution competency, open-minded inquiry, and citizenship was high.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significant implications on what the faculty, the department and the college itself should consider in designing and operating a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one that provides curriculum-related education and one that outlines a mid to long-term road map.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요약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