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urriculum and Feedback Measures to Improve Writing Efficacy: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s Writing Subject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배혜진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6권 제5호, 101~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국문 초록
하이퍼텍스트 형식의 디지털 매체로 정보를 얻고 의사소통을 하는 Z세대인 대학 신입생들에게 글을 쓴다는 것은 지겹고 부담스러운 일임에 틀림없다. 글쓰기에 대한 자신감이 낮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글쓰기 교육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글쓰기 효능감을 높이는 일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K대학 글쓰기 교과 사전 설문조사에서도 학습자들의 글쓰기 자신감이 낮은 편임을 알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한 고민의 일환으로 Fisher&Frey(2021:4)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3단계 글쓰기 교과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1단계에서는 학습 목표와 성취 기준을 설정하여 학습자들에게 명확하게 제시한다. 2단계에서는 성취 기준에 부합하는 예시를 제시하여 안내 교육하고 피드백을 진행하여 학습을 지원한다. 3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개별 학습을 완료하고 이에 대한 교수자의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한다. 3단계 교과 운영 과정에서 교수자의 피드백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학습자들의 글쓰기 효능감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정서적 측면을 고려한 피드백이 필요하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또 이를 위한 구체적인 피드백 절차를 제시하고, K대학의 글쓰기 교과에서 적용한 사례도 함께 살펴보았다. K대학 글쓰기 수강생들의 설문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고의 논의들이 글쓰기 학습자들의 효능감 을 향상시켜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영문 초록
It must be tiresome and burdensome for college freshmen to write, the Z generation, most of whom get information and communicate through hypertext, digital media. In order to conduct writing education for learners with low confidence in writing, educators should start by trying to increase their student’s writing efficacy. In the preliminary survey of K University’s writing subject, it was found that the confidence of learners in writing was low. As part of the review, this paper presents a three-stage writing curriculum operation plan based on Fisher & Frey’s framework (2021:4) for effective education. In the first step, learning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are set and presented clearly to learners. In the second stage, examples that meet achievement standards are presented to guide and educate, and feedback is provided to support learning. In the third step, learners must complete individual learning and instructors should present them with feedback. In the course of operating the three-stage curriculum, the feedback of the instructor is very important.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that feedback,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the emotional aspects of learners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writing efficacy. In addition, specific feedback procedures were presented for this approach, and cases of students enrolled in the writing curriculum of K University were also examined. As can be seen from the survey results of K University’s writing students, I think that the discussions in this paper will help improve writing skills by improving the efficacy of writing learners.
목차
1. 서론
2. 글쓰기 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과 운영
3. 학습자의 정서적 측면을 고려한 피드백 절차와 사례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