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Investigation of the Identity of Character Through the Fundamental Cognitive Mechanism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송광한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6권 제5호, 41~5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국문 초록
우리나라 인성교육은 2015년 인성교육진흥법이 공포된 이후 더욱 강화되었으나 인성 그 자체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지 않고 합의되지 않아 인성교육에 대한 혼란과 부작용이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성교 육의 이런 본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일환으로 인간의 다양한 마음이 형성되어 나오는 인지 근원에서 인성이 무엇인지를 근본적이고 전체적으로 바라보고 인지 근원으로부터 어떻게 인성이 나타나는지 그 메커니즘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 인성, 즉 인간의 본성은 서로 상반된 두 가지 본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누구나 사고하지 않아 아무런 인지구조물(지식)을 형성 않고 따라서 내면에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게 하려는 공성(空性)과 사고하여 지식을 형성하고 그 지식을 내면에 나타나게 하려는 현성(現性)이다. 그리고 인간은 현성 발현을 위한 감각성, 기억성, 사고성, 지식성 등의 본성과 감각능력, 사고능력, 지식형성능력 (지능)과 같은 본능을 지니고 태어난다. 이런 본성과 본능으로 인간은 세계에 대한 지식을 형성하고 그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마음, 이른바 인성교육 덕목들을 형성한다. 본 논문은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본성, 선과 악 등 인성과 관련된 논쟁들을 제고하고 올바른 인성교육의 방향과 방법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has been strengthened since the Promulgation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in 2015. But the concept of character itself is not clear and there is no consensus regarding it, causing confusion and certain side issues when it comes to character education. As part of resolving this essential problem of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looked at what character is from its cognitive origin, from which various human minds are formed. It also looked at the mechanism of how character emerges from the cognitive origin. The results showed that character, that is, human nature, is composed of two contradictory natures: a nature for ‘emptiness,’ which is a mind that one tries not to think and thus any cognitive structure (knowledge) does not appear internally, and a nature for ‘appearance,’ which is a mind that one try to think to form knowledge and thus knowledge appears internally. Furthermore, humans are born with natures of sensibility, memory, thinking and knowledge, and innate abilities such as sensory ability, thinking ability, and knowledge formation ability (intelligence) for the manifestation of appearance. Due to these natures and innate abilities, human beings form knowledge about the world and form various fields of mind based on this knowledge. Thus, we have the so called ‘virtues in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thesis discusses the debates related to character, such as nature, as well as the debate of good versus evil, and suggests the right direction and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결과: 인성의 개념과 인성메커니즘
4.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