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ational General (Liberal) Education College in the Era of Great Transform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안현효 김영우 전용숙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6권 제5호, 11~2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대학체제 개편 논의의 맥락에서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의 설립방안을 탐구하여 이 방안이 교육과정 개혁을 위한 학사구조의 쟁점을 해결하기 위한 역사적 경로상 최적의 대안인지를 확인하고, 그러한 학사구조 대안을 실천하는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교육의 본질을 지키고, 대학이 변화하는 시대상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초학문을 키워야 하는데 기초학문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양교육과정을 활성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개혁은 학사구조 개혁으로 뒷받침되어야 하며 이는 한국형 리버럴아 츠칼리지를 요구한다. 셋째,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에 관한 여러 논의 중에서 대학체제 개편을 기반으 로 한 국립교양대학의 설립이 가장 현실적이다. 그런데 국립교양대학 논의가 대학체제 개편의 전제로서 제안되는 경우 대학체제개편을 하지 못하면 실행할 수 없는 안이라는 문제가 있다. 이 글에서 우리는 대학체제 개편 이전에 가능한 국립교양대학의 구체적 설립 모델을 제안하였다. 국립교양대학 설립의 로드맵은 기존 대학체제 내에서 교양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단과대학으로 국립교양대학을 신설하여 점진적으로 전국의 교양교육과정을 수렴하게 하는 표준 커리큘럼을 만들고 표준화에 합의하여 장기적으로 전국적 교양교육을 맡는 국립교양대학으로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이는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설립에 이어서 우리나라에서 교양교육을 확고하게 자리잡게 할 개혁의 시작이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essay investigates how to establish a Korean Liberal Arts College in the context of the University System Innovation debate, which is regarded as the best practical way to solve the problem found in the higher education academic structure in Korea. The problem with Korean universities is that basic science becomes weaker in the restructuring process. To solve this problem, we should understand that basic science is closely related to general education in undergraduate education. The way to solve this issue is to establish an independent academic structure to be responsible for general and liberal education, so called “Korean Liberal Arts College”. Among a few versions of the “Korean Liberal Arts College”, the National General (Liberal) Education College in the context of University System Innovation debate is proposed as a college that will provide undergraduate courses in the university system. This college will be evolved to be responsible for the general (liberal) education in undergraduate courses at the national level.
목차
1. 논의의 맥락: 국립 리버럴아츠칼리지 대 국립교양대학
2. 대학의 본질과 변화하는 시대상에서의 교양교육의 필요성
3. 한국대학의 역사적 특성: 학사구조의 개혁
4. 대학체제개편 논의와 국립교양대학
5. 결론: 기대효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