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Heatwave Disaster Using Social Capital Based on Community Health Survey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Yeji Na Sungsu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8 No.6, 53~6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국문 초록
현재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우려되고 있는 기후변화의 영향 중 하나는 ‘국내여름철 폭염의 심화’이다. 국내에서 폭염 피해 저감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여 이행하고 있지만, 지역사회의 역량에 따라 피해 규모가 달라지고, 이와 관련하여 꾸준히 기후학적 요인 외에 사회적 요인을 고려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공동체의 의사결정이나 자원에 대한 접근성과 관련되어 있어적응능력과 회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자본’은 지역사회 수준에서의 지역자원의 활용과정의비물질적 자원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에 대한 정의와 영향변수에 대해 살펴보고 지역사회건강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해 사회적 자본의 계량화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2019년 우리나라의 폭염 피해와 관련한 사회적 자본을 분석하고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구분하여 폭염 피해와 지역별 사회적 자본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영문 초록
One of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is “Increase of heatwave in Korea”. In spite of measures prepared and implemented to reduce heatwave victims in South Korea, the extent of damag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apabilities of the community. In this regard, the need to consider social factors in addition to climatological factors has been steadily raised. In particular, 'social capital', which affects adaptability and resilience as it related to community decision-making or access to resources,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non-material resource in process of using local resources at the community level. In this study, definition and influence variables of social capital were investigated and quantification was attempt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Community Health Survey. Through analysis of social capital with respect to heatwave damage in 2019 in South Korea, the role of regional social capital on heatwave damage was identified so that the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 reveals difference aspects.
목차
Ⅰ. 서론
Ⅱ. 사회적 자본의 정의와 변수
Ⅲ. 사회적 자본 평가
Ⅳ.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