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eature Extraction and Recognition of Myanmar Characters Based on Deep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전자통신학회
- 저자명
- 옴마킨 이성근
- 간행물 정보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제17권 제5호, 977~98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국문 초록
최근 동남아시아의 경제발전에 따라 정보기기의 활용이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으며, 지능적 문자인식을 이용한 응용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동남아시아 국가 중 하나인 미얀마 문자에 대한 딥러닝 기반 특징 추출 및 인식에 대해 논한다. 특징 추출에는 미얀마 알파벳(33자)과 숫자(10자리)를 사용한다. 본 논문은 9개의 특징을 추출하고 3개 이상의 새로운 특징을 제안한다. 각 문자와 숫자의 특징을 추출하여 성공적인 결과로 표현하였다. 인식 부분에서는 합성곱 신경망을 사용하여 문자 구분에 대한 실행을 평가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캡처된 이미지 데이터 세트에 구현되고, 이에 대한 성능을 평가한다. 입력 데이터 세트에 대한 모델의 정밀도는 96%이며 실시간 입력 이미지를 사용한다.
영문 초록
Recently, with the economic development of Southeast Asia, the use of information devices is widely spreading, and the demand for application services using intelligent character recognition is increasing. This paper discusses deep learning-based feature extraction and recognition of Myanmar, one of the Southeast Asian countries. Myanmar alphabet (33 letters) and Myanmar numerals (10 numbers) are used for feature extraction. In this paper, the number of nine features are extracted and more than three new features are proposed. Extracted features of each characters and numbers are expressed with successful results. In the recognition part,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re used to assess its execution on character distinction. Its algorithm is implemented on captured image data-sets and its implementation is evaluated. The precision of models on the input data set is 96 % and uses a real-time input imag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ology
Ⅳ. Result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