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uto-Ethnography on a 30-year-old Women Married Counselo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roce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손고은 김명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9호, 513~53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가부장적 사회에서 30대 여성 상담자가 결혼과 육아를 하면서 전문직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여성상담자가 어떤 성역할 갈등을 경험하는지, 그리고 그 어려움 속에서 전문직 정체성은 어떻게 형성되어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방법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일기자료, 회상자료, 인터뷰 자료를 사용하여 연구자의 경험을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바라보고 해석할 수 있는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다루었다. 결과 ‘자연스레 스며들어 있는 성역할 관념’, ‘성역할 개념의 틀을 내려놓는 시도’,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과 성역할의 통합’으로 구분하였다. 이는 가부장적 사회에서 자연스럽게 학습되어 온 성역할 관념에 따라 나타나는 모습, 그것을 상담학을 공부하면서 이러한 틀을 내려놓으려는 시도를 하는 모습 그리고 나 스스로를 역할로 정의 내리는 것이 아닌 보다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면서 존재로서의 자신을 지각하는 모습을 통해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냈다. 결론 이러한 연구는 상담학을 공부하고 있는 여성 상담자의 삶을 이해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forming a professional identity by a female counselor in her 30s through marriage and childrearing in a patriarch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gender role conflicts female counselors experience and how professional identities are formed in the midst of such difficulties. Methods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using the researcher's diary data, recollection data, and interview data, the researcher's experience was dealt with through a self-cultural descriptive paper that can view and interpret the researcher's experience in an auto-ethnography. Results It was divided into ‘the concept of gender roles naturally permeated’, ‘attempts to lay down the framework of the concept of gender roles’, and ‘integration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the counselor and the gender role’. This is the appearance according to the gender role concept that has been naturally learned in the patriarchal society, the attempt to put down this framework while studying counseling, and the image of myself as a being by living a more independent life rather than defining myself as a role. It showed the process of forming identity through self-perception. Conclusions This study may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life of a female counselor who is studying counsel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