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resilience Assessment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Busan, Ulsan, and Gyeongnam Provi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황석현 김석우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9호, 449~46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탄력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첫째, 문헌연구, 개방형 설문조사 및 집단면담을 통해 진로탄력성 개념 정의 및 구성요인을 추출하였다. 둘째,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토를 마친 예비문항 70개로 부산⋅울산⋅경남지역 대학생 540명의 자료를 기반으로 기초통계, 신뢰도,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타당화를 위해 35개 문항으로 부산⋅울산⋅경남지역 대학생 330명의 자료를 통해 확인적 요인 분석, 수렴 및 판별타당도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탐색적 요인 분석은 7개 구성요인(자기인식, 자기확신, 성취지향, 진로준비, 창의성, 유연성, 관계성), 35문항을 확정하였다. 둘째, 확인적 요인 분석은 적절하게 나타났고, 수렴타당도 및 판별타당도 역시 적절하게 나타났다. 이로써 대학생 진로탄력성 최종 척도는 7개 구성요인, 35문항으로 결정하였으며, 개인적 요소는 자기인식, 자기확신, 성취지향을, 직무적 요소는 진로준비, 창의성, 유연성을, 사회적 요소는 관계성을 포함할 수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career resilience scale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o this end, first, the concept of career resilience and constituent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pen surveys, and group interviews. Second, basic statistics,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data from 540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with 70 preliminary questions that have been reviewed for expert content validity. Third, for valid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ce,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conducted through data of 330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with 35 question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7 constituent factors (self-awareness, self-confidence, achievement orientation, career preparation, creativity, flexibility, and relationship), and 35 questions. Seco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appropriate, and convergence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also appropriate. As a result, the final measure of career resilience of university students was determined to be 7 constituent factors and 35 questions, and individual factors could include self-awareness, self-confidence, and achievement orientation, job factors could include career preparation, creativity, flexibility, and social factors.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