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Empirical Meaning of Child-Centered Play Practice through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of Small-Scale Daycare Cente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경 박희숙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9호, 305~32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반 교사들이 유아중심놀이에서 겪는 어려움을 공유하고 유아의 놀이를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소규모 어린이집의 학습공동체 문화를 정착하는데 있다. 방법 소규모 어린이집 원장과 2명의 유아교사의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유아중심놀이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유아의 놀이지원 사례를 수집하여 경험적 의미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유아중심놀이 실행에서의 경험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유아중심놀이를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내가 이해하고 있는 유아중심놀이의 개념이 맞는지 지속해서 반문하며 올바른 방향을 찾아가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이 실행하는 유아중심놀이가 학부모들이 원하는 놀이의 방향과 다른 것에 대해 딜레마 상황을 겪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유아중심놀이 실행 내용을 서로 공유하며 정서적 지원을 하고 문제를 해결해나가며 자신감을 가졌다. 넷째, 교사들은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스스로 반성적 사고로 성장하고 서로 피드백을 통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결론 소규모 어린이집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은 교사들이 유아중심놀이에 대한 어려움과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공유하고 자신의 부족함을 반성하면서 유아들의 놀이를 지원하는 원동력이 되었고, 유아중심놀이의 정착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원장과 교사가 함께 유아중심놀이를 지원하기 위해 각 기관의 특성을 고려한 학습공동체 활동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learning community culture in small-scale daycare centers by sharing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in child-centered play and finding ways to support children's play. Methods Cases of support for children's play were collect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child-centered play through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of the director of a small daycare center and two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empirical meaning was qualitatively analyzed. Results The empirical meaning of child-centered play through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is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accepting child-centered play, teachers constantly questioned whether the concept of child-centered play that I understood was correct, and felt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right direction. Second, teachers were experiencing a dilemma in that the child-centered play practiced was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play that parents wanted. Third, Teachers shared the contents of infant-centered play through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provided emotional support, and had confidence in solving problems. Fourth, teachers grew into reflective thinking on their own and positively changed through mutual feedback through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Conclusions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y in the small-scale daycare center became a driving force to support children's play as teachers shared difficulties and problem solutions for child-centered play,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ttlement of child-centered play. Therefore, in order for the director and the teacher to support child-centered play together,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stitution should be continu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