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Life Satisfaction of Young People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Stress of Mother's Daily Life and Cultural Adapt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금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9호, 273~28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삶 만족도와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시간의 변화에 따라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그리고 청소년의 삶 만족도와 어머니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의 관계 변화를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자료 가운데 4-6차년도(2014년-2016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다문화가정 어머니 1,625명과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청소년기 자녀 1,635명이었다. 분석방법으로는 Cronbach α,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 상관분석과 회귀대체방법을 사용하여 결측치를 처리하였다. 그리고 제4차년도에서 제6차년도(2014년-2016년)까지 청소년의 삶 만족도와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일상생활 스트레스 간 변화 흐름을 평균(M)과 무변화 및 선형변화 모형으로 분석하였고,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 LGM, 이하 LGM)으로 변인 간 종단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삶 만족도와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자녀가 중학교 1학년에서 3학년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고 어머니의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의 자녀가 중학교 1학년 시기에 삶 만족도가 높을수록 같은 시기에 측정한 외국인 어머니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낮았다. 그리고 중학교 1학년에서 3학년 시기의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삶 만족도 변화율은 어머니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변화율에 부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삶 만족도 초기값과 어머니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초기값 및 일상생활 스트레스 변화율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초기값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정이 한국사회에 건강하게 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를 내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ngitudinally examine the changes in the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mother's acculturation stres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and the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and mother's daily life stress.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4th and 6th years (2014-2016) were used among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data of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25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1,635 adolescent children from 1st to 3rd grade of middle school.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mother's acculturation stress gradually decreased as the children progressed from the first to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and the mother's daily life stress gradually increased. Second,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during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he lower the daily life stress and acculturation stress of foreign mothers measur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rate of change in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uring the first to third year of middle school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in mother's daily life stres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mother's initial value of acculturation stress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value of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mother's initial value of daily life stress and the rate of change of daily life stres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policy implications that social measures should be devised to enable multicultural families to settle healthily in Korean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