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nit design plan for the integration of population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Focusing on Drake’s KDB Model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박종익(Park, Jong-Ik) 차우규(Cha Woo-Kyu)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38권 제5호, 51~7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인구교육과 초등 도덕교육과 통합 단원 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Drake의 KDB 모형을 적용한 통합 단원 설계 방안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Drake의통합교육과정 모형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교과 간의 간학문적 연구가 아니기 때문에 기존의 통합 단원의 구성 순서와는 다르게 주제 및 교과를 먼저 선정하는 작업으로 재구성하였다. 그리하여 인구교육이 갖는 핵심 내용 요소와 가치들을 초등학교 도덕교육과의 통합 단원 설계 방안의결과물인 통합 단원의 지도안을 제시하도록 한다.
연구결과 인구교육과 초등학교 도덕교육의 통합 단원 설계 작업을 위해 도덕과의 성취기준 및 내용 요소와인구교육의 내용 요소를 KDB 모형의 적용을 통한 통합 및 재구성하여 총 6차시 분량의 지도안으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교 도덕교육과 인구교육의 통합 단원의 설계 방안을 제시하여 저출산·고령화시대의 현실에서 보다 더 효과적인 인구 및 도덕교육의 접근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nit design plan for the integration of population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Methods: Drake's integrated curriculum model application was analyzed through an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the integrated unit design method that utilized Drake's KDB model. In particular,since this study is not an interdisciplinary study, it was reorganized as a task in which the subject and subject were selected first, and this wa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rder of the composition of the integrated unit. In this way, the core content elements and values of population education were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unit design plan and integrated with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Results: In order to design an integrated unit that focused on population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content elements of the moral education department and the content elements of population education were integrated and reorganized through application of the KDB model,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as a guide plan for a total of six lessons.
Conclusion: This study sought to find a more effective approach to population and moral education in the era of low fertility and aging by suggesting a design plan for an integrated unit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and population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인구교육의 통합교육과정 모형 적용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