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X / UI for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s and the medical team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박준홍(Park, Jun Hong)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3(통권 24권), 333~35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의료진과 통증환자의 소통을 개선하기 위한 통증 사정 시스템 개념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현실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증 평가도구들 중 환자가 통증을 기록하는 5가지의 방법과 의료진이 관찰을 통해 상태를 서술하는 3가지 방법을 확인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시스템과 인터페이스의 정의와 개념을 확인하고 의료진과 통증환자가 연결된 통증 사정 시스템의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후 통증 사정 시스템 개념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현장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통증 입력 장치인 하드웨어 시스템을 제안하였으며, 환자별로 보고된 통증정보를 추적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구성하였다. 기존의 통증 평가방법들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과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에 연구의 가치를 찾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술을 활용하여 의료 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환자와 의료진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conceptual model of the Pain Assessment system to impro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s and the medical team, and to present a concrete way to realize it. To this end, among the representative pain assessment tools used in clinical practice, five methods of recording pain by the patient and three methods of describing the condition through observation by the medical team were identified and the contents were confirmed. Along with this,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the system and interface were confirmed, and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pain assessment system connected with the patients and the medical team were presented. After that, a hardware system, a pain assessment device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was proposed to implement this in the field, and a software system that can track the pain assessment information reported for each patient was specifically configur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통증의 기록을 위한 UX/UI 개념모델
4. 통증관리 시스템의 설계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