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Teacher Aptitude and Character of Second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미원(Miwon Jo) 박영주(Youngjoo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8호, 949~96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교직 적⋅인성 검사 결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교원양성기관에서 실시되는 교직 적성과 인성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2018년부터 2021년까지 A대학교 사범대학, 일반대학 교직과정, 교육대학원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한 누적 학생 5,026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 처리를 위해 Microsoft Excel 2016과 SPSS 23을 활용하여 기초통계량 분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사후검정을 위해 Scheffé test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연도별 교직 적⋅인성 검사 결과, 전체적으로 평균이 유의미하게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교직 적⋅인성 검사의 14개 하위 영역 중 예비교사는 소명감⋅교직감 영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고, 창의⋅응용능력 영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전후의 교직 적격 대상자 비율을 비교 분석 한 결과 2019년에 비해 2020년에 교직 적격 대상자 비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향후 전문적인 교원양성 프로그램 및 교직 적성과 인성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및 근거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를 둔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acher aptitude and character test in-depth for the second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Methods The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responses conducted for 5,026 cumulative students from 2018 to 2021 who completed teaching courses at A University’s a general college, a college of education, and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undamental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OVA, chi-square test, and Scheffé test were applied using Microsoft Excel 2016 and SPSS 23 for data processing.
Results First, the annual average of the teacher aptitude and character test for pre-service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Second, among the 14 sub-areas of the teacher aptitude and character test, pre-service teachers showed the highest level in the sense of calling and teaching profession but the lowest in the sub-area of creativity and application ability. Finally, comparing the ratio of eligible pre-service teachers for the teacher aptitude and character test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 19, the proportion of eligible teachers increased significantly in 2020 compared to 2019.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ore professional and practical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