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ath Analysis among Optimism, Grit, and Career Decision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현기(Jang Hyeon Ki) 이희영(Lee heey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8호, 609~62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낙관성, 그릿, 그리고 진로결정 간의 경로관계를 알아본 후, 그릿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B지역 예비유아교사 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에게 배부된 설문지를 280부였으며 최종 회수된 것은 245부였고, 그 중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하고 분석의 대상이 된 것은 234부였다. 회수된 자료는 SPSS 26.0와 AMOS. 26.0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경로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낙관성이 높아질수록 진로결정도 높아졌다. 둘째, 유아교사의 낙관성이 높아질수록 그릿도 높아졌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그릿이 놀아질수록 진로결정도 높아졌다. 넷째, 예비유아교사의 낙관성과 진로결정 간의 관계에서 그릿은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낙관성과 그릿을 양성할 수 있도록 교육환경과 교사교육과정을 제공한다면, 예비유아교사의 취업 및 진로결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s of grit after examining a path relationship among optimism, grit, and career decision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To this en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34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B region.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widely distributed to these people were 280 copies. What was finally collected included 245 copies. Excluding insincere answers among the rest, the analysis subjects corresponded to 234 copies. The gathered materials were carried out the frequency, percentage, path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by using SPSS 26.0 and AMOS. 26.0.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optimism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d even to the higher career decision. Second, the higher optimism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d to the higher persistence as well. Third, the higher grit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d to the higher career decision in the same manner.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career decision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grit was verifi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It is considered to be likely helpful for the employment and the career decision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iven provid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so that the career decision level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be heightened and so that the optimism and grit can be foster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