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nging trajectory of life satisfaction and contemporaneous and lagged effects of school factor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지영(Chung Jiyeong) 정혜원(Chung Hyew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8호, 467~48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도 변화궤적과 학교요인(친구관계, 교사관계, 주관적 학업성취)의 동시효과 및 지연효과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의 초4 패널 1차년도~3차년도(초4~초6) 자료를 사용하였다. 초등학교 3년간의 삶의 만족도 변화궤적과 학교요인의 동시효과 및 지연효과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으로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을 적용하였다. 자료 처리 및 분석은 SPSS 26.0과 Mplus 8.7을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학년이 올라갈수록 삶의 만족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요인(친구관계, 교사관계, 주관적 학업성취)은 1차(초4)~3차(초6) 시점에서 삶의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동시효과가 확인되었다. 특히, 학교요인 중 1차(초4) 시점에서는 친구관계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나타낸 반면, 2차(초5)~3차(초6) 시점에서는 교사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1차(초4) 시점의 친구관계, 교사관계가 2차(초5) 시점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지연효과를 확인하였으며, 2차(초5) 시점의 교사관계가 3차(초6) 시점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지연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성별에 따른 삶의 만족도 변화궤적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도 향상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ing trajectory of life satisfaction and contemporaneous and lagged effects of three sources of school factors(peer and teacher relationships,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1 wave to 3 wave (4th to 6th grades) of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sed. The latent growth modeling was applied as a method to analyze the changing trajectory of life satisfaction and contemporaneous and lagged effects of the School factors over the three years. SPSS 26.0 and Mplus 8.7 were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Results First,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appeared to decrease during elementary school years. Second, the contemporaneous effect of three sources of school factors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s,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on life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significant at 4th, 5th and 6th grades. In particular, among school factors, at the 4th grades, the peer relationship showed a relatively high influence, while at the 5th and 6th grades, the influence of the teacher relationship on life satisfaction was appeared relatively high.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lagged effect of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 at the 4th grad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t the 5th grades, and the teacher relationship on at the 5th grades The lagged effect that has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t the 6th grades was confirmed.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change trajectories according to gender, it was confirmed that male students had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female student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life satisfaction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