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Education of Prospective Principals in Australia and Canad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연(Yeon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8호, 215~23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호주와 캐나다의 교장양성을 위한 교육 시스템과 내용의 구체적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국내 중등교장 자격연수에의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방법은 문헌분석을 통한 비교연구이며,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경우 관련 법령과 함께 한국교원대학교 종합연수원의 교장 자격연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호주와 캐나다는 연방정부와 주정부 교육부의 교장 양성 관련 문서를 조사하였고, 사례로서 모나쉬대학교의 리더십 과정과 토론토대학교의 교장자격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결과 호주는 국가수준에서 교장 전문성기준과 교장양성 교육과정 설계 가이드를 제시하고, 주정부는 이에 기반하여 신임교장 양성을 위한 교육을 설계하며, 운영기관(대학교 등)은 이들을 참조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학습자의 이전경험에 따라 선택과목이 달라지며, 거시적 수준의 리더십을 다룬다. 캐나다는 연방정부 수준의 통일된 교장 전문성 기준은 없으나 개별 주정부에서 이론적 체계를 마련하고,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모든 기관에서 동일한 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동일한 5개의 모듈이 이론중심과 실천중심의 두 파트로 구분되어 반복 심화된다.
결론 호주와 캐나다의 교장양성교육을 통해 교장 자격연수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이론적 체계의 개발, 학습자의 맥락에 기초한 선택적 교육, 미래지향적 교육 및 교장 양성교육제도 및 내용에 대한 연구 등의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implications for qualification training for secondary school principals in Korea by examining specific examples of education systems and contents for fostering principals in Australia and Canada.
Methods The research method is a comparative study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for this purpose, in the case of Korea, the principal qualification training curriculum of the Korea Teachers’ University’s General Training Institute was analyzed along with related laws. Australia and Canada investigated documents related to the training of principals by the Federal and State Departments of Education, and analyzed the leadership course at Monash University and the principal qualification program at University of Toronto as examples.
Results Australia presents principal professional standards and principal training curriculum design guides at the national level, and the state desings education to foster new principals based on this, and the operating institutions(university, etc) refer to them to operate the curriculum. Choice subjects vary depending on the learner’s previous experience and deal with macro-level leadership. Canada does not have a unified principal professional standard at the federal level, but individual states establish a theoretical system and develop a standardized curriculum to operate the same course in all educational institutes. The same five modules are divided into two parts, theory-centered and practice-centered, and repeatedly deepened.
Conclusions Through principal training in Australia and Canada, implications such as the development of a theoretical system that can be the basis for principal qualification training, selective education based on learner context, research on future-oriented education and principal training system and content were found.
목차
Ⅰ. 서론
Ⅱ. 국내 중등교장 자격연수현황
Ⅲ. 호주와 캐나다의 교장양성 교육 프로그램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