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3D modeling of cultural assets in Korea: focusing on the students at S gifted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경식(Kyeongsik Cho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8호, 113~13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영재학교 학생들로 하여금 지오지브라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문화재를 3차원 모델링하는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중소 도시에 소재한 S 영재학교에 재학중인 2학년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7주간에 걸쳐 지오지브라의 기능을 익히고 조별로 우리나라 문화재를 선정하여 지오지브라 소프트웨어로 수학적 모델링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후 학생들의 결과물에서 어떠한 수학적 요소와 융합적 요소가 포함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결과물을 일반 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 학생들의 결과물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모델링 과정에서 사용된 수학적 요소는 다면체와 곡면이었다. 이때 곡면은 곡선을 회전하여 만들어진 회전면이거나 지오지브라의 도구, 명령어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것이었다. 문화재 모델링 과정에서 나타난 융합적 요소는 과학적 지식과 공학적 지식이 반영된 것이었다. 학생들은 자신들의 결과물을 설명하기 위하여 천구를 만들었으며 증강현실로 나타내어 가상적으로 모델을 경험하였다. 또한 모델링 결과물에 공학적 지식을 표현하기 위해 자바스크립트 코딩을 활용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3차원 모델링을 위한 수업 프로그램과 영재학교 학생들의 결과물은 이후에 일반 학교 학생을 위한 3차원 기반의 수학적 모델링 수업의 기초 자료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a lesson program was designed so that students in S gifted school could use GeoGebra to model 3D Korean cultural assets. The designed lessons were applied to the studen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Methods For this purpose, 14 second-year students from S gifted school located in a small city studied the functions of GeoGebra, selected Korean cultural assets by groups, and conducted mathematical modeling for 7 weeks. Afterwards, the students' results were analyzed to see how mathematical elements and convergence elements were included. Also, how the students' results can be applied to general school students is presented.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ents' results, the mathematical elements used in the students' modeling process were polyhedra and curved surfaces. The surfaces were created by rotating curves and using GeoGebra's tools and commands. The convergence factors that appeared in the modeling process of cultural assets were the reflections of scientific knowledge and engineering knowledge. The students made celestial spheres to explain their results and experienced the models virtually in augmented reality. In addition, JavaScript coding was used to express engineering knowledge in the modeling result.
Conclusions The lesson program for 3D modeling developed in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S gifted school studen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3D-based mathematical modeling classes for general school students and data for follow-up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