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 초록
지금까지 대부분의 청소년 및 대학생 관련 적정기술 행사는 캠프 형식으로 2-4일 정도의 일정으로 단기간에 한 장소에 모여서 적정기술 및 공학설계 방법론에 대한 집중적인 강연과 조별 실습을 통해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최종 발표하는 플랫폼으로 프로그램이 진행하거나 또는 당일 경진대회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프로그램을 3-4개월간의 참여기간을 갖는 단기스쿨 형식으로 진행된 ‘청소년 아이디어 스케치 대회’의 개발과정과 적용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청소년을 위한 적정기술 과학교실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다음 프로그램 계획을 위해 대회 종류 후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중 본 대회를 직접 기획하고 진행한 운영위원의 피드백을 분석함으로써 프로그램 개발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그 뒤 이 대회에 참가한 국내외 학생의 학교 분포와 아이디어 주제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또한 참가팀의 국내외 중고등학교 분포 및 참가팀의 아이디어 주제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회 전체적인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멘토링에 참여한 현직 교수 및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멘토 및 학생들의 경험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대회 분석을 토대로 향후, 더 좋은 청소년 적정기술 과학교실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영문 초록
Until now, most youth and college student-related appropriate technology events have been held in a short period of 2 to 4 days in the short camp setting, with intensive lectures on appropriate technology and engineering design methodologies, and a platform to develop and present ideas through group practice, or in the form of a compet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application results of the Youth Idea Sketch Contest, which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a short-term school with a 3-4 month participation perio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n appropriate technology science class program for teenagers in the future. In particular, among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after the type of competition for the next program plan,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was examined in detail by analyzing the feedback of the steering committee who planned and conducted the competition. After that, the school distribution and idea topics of domestic and foreign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competition were also analyzed.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the participating teams' domestic and foreig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the theme of the participating teams' ideas were analyzed. In addition, by conducting a survey of incumbent professors and researchers who participated in mentoring to evaluate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competition and analyzing it, it was possible to indirectly grasp the experiences of mentors and students. Based on this competition analysis in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etter youth appropriate technology science class programs in the future.
목차
Introduction
Program Development
Survey Method
Survey results
Discussion & Implicat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