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Simulated Teaching Design for Improving Authenticity: The Experience of Simulated Teaching and Teaching Practice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백정이(Baik Jeong-yi)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3권 4호, 279~324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어과 모의 수업 시연 과제의 실제성을 제고하기 위하여,예비 교사가경험한 모의 수업 시연과 현장 수업으로 향하는 과정에 위치한 수업 실연에 대한 인식을 대비함으로써 경험 주체가 인식하는 수업의 실제성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동일 학기에 모의 수업 시연과 수업 실연을 모두 경험한C교육대학교3학년 학생들이 두 경험 모두를 포함하여 작성한 성찰 보고서를 분석 자료로 삼았다. 수업 실연과 대비되는 모의 수업 시연 과제는 대여섯 명이 한 모둠을 이루어 국어과5개 영역 가운데 하나를 중복되지 않게 선택한 뒤 동료 예비 교사들이 학생으로 참여하는 가운데 온전한 한 차시의 수업을 생략 없이 진행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자기성찰지 분석에는 질적 내용 분석 방법이 사용되었으며,국어과 수업 능력 범주가 코딩에 활용되어 각각에 대한 인식이 크게 ‘수업 설계 능력,수업 실행 능력,수업 개선 능력’의 세 범주에서 대비되었다.그 결과 이들 간 차이의 중심에 학습자와 수업 주체 간상호작용으로 인한 역동성이 있음을 확인하고,이를 중심으로 실제성이 점차 증가하도록 모의 수업 시연 과제를 네 단계로 제시하였다.
교사의 수업 능력과 교육 실습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대에 보완적 수단으로서 모의 수업 시연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는 것이 필요하며,본 연구는 모의 수업 시연을체계화하려는 하나의 시도로서 의미를 가진다.
영문 초록
To improve the authenticity of the simulated teaching task in Korean, this study focused on the Korean languag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of simulated teaching and teaching practice. The intention of comparing the perception on simulated teaching and teaching practice, which is located between real teaching and simulated teaching, was to gauge the authenticity of the class by experienced people.
Third graders of the C University of Education, who experienced both simulated teaching and teaching practice in the same semester, were asked to write selfreflective reports on both experiences, and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with teaching professionalism codes was used to analyze them. The simulated teaching task was designed as a 5-6 people group, choosing one of the five area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tudents’ activities were conducted with fellow pre-service teachers taking on the roles of students.
Students and the class dynamics originating from teacher-student interaction were regarded as the key to the gap between simulated teaching and teaching practice. Hence, the simulated teaching task was presented in four stages based on them, in a way that authenticity would gradually increase.
Simulated teaching has significance as a complementary means to improve teaching professionalism. This study contributes to systematizing simulated teaching tasks.
목차
1. 서론
2. 국어과 수업 능력과 모의 수업 시연
3. 연구 방법
4. 예비 교사의 모의 수업 시연 및 수업 실연 경험 기반 모의 수업 시연 단계화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