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erception of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Dyslexia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정종성(Jongseong Jeong) 최진오(Jinoh Choi)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3권 4호, 245~27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재 학교현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난독증에 대해 초등교사들이 어떠한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조사하여 올바른 난독증 학생 지도를 위해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초등교사 309명을 대상으로 난독증의 원인,난독증의 증상,난독증 진단,난독증 치료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하였다.수집된 자료는기술통계와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으며,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초등학교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난독증에 대해 잘 알지 못하거나 부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특히,난독증 치료에 대한 정답률은 12.8%,난독증의 원인에 대한 정답률은 24.3%등으로 나타나 정확한 인식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교직경력,지도 자신감,난독 관련 연수 경험,난독 과목 이수 경험,난독 학생 경험은 난독증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특히 난독 관련연수 경험과 난독 과목 이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오개념 비율이 정개념 만큼이나 상대적으로 높았다.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교사의 정확한 난독증 인식을 위한 연수나 교육이 시급함과 동시에,현재 운영되고 있는 난독증 관련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최신연구결과에 맞춰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dyslexia, which was receiving major attention in school settings. Three hundred n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regarding their perceptions about the causes, symptoms, diagnosis, and treatment of dyslexia. Survey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generally did not know or have inaccurate knowledge about dyslexia. In particular, the correct response rate for the treatment of dyslexia was 12.8%, and that for the cause of dyslexia was 24.3%, indicating that the level of accurate recognition was very low. Second, teaching experience, confidence of teaching, in-service training experience related to dyslexia, experience of completing subjects with dyslexia, and experiences of teaching students with dyslexia had a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n the perception of dyslexia. In particular, the rate of misconceptions among teachers who had in-service training experience and completion of subjects was relatively hi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eacher training or education for correct perceptions of dyslexia is urgen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lso, the results show that current dyslexia-related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be updated based on the latest research of dyslexia.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