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er Feedback on Writing Activity: Focused on idea generatio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윤경훈(Gyeonghoon Yoon) 김혜연(Hyeyoun Kim)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3권 4호, 77~116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글쓰기 과정에서 동료 피드백이 내용 생성하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를 위하여 내용 생성하기 단계에서 중학생들의 동료 피드백의 수와 유형은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중학생들의 동료 피드백 수신과 발신 양상은초고의 질과 학생의 활동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중학생들의 동료 피드백 수와 유형은 초고의 질과 학생의 활동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176명의 중학생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이들은 서평 쓰기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내용 생성하기 단계 중 동료 피드백을 실시한 뒤 초고를 작성하고 동료 피드백활동에 관한 설문조사에 임하였다.피드백의 성격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우호적피드백이,피드백의 영역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내용 피드백이,피드백의 내용을기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단순소감형 피드백과 논평형 피드백이 많은 수를 차지하였다.피드백의 내용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을 때의 유형별 수의 영향을 수신과 발신 차원에서 볼 때 수신 차원에서는 모든 유형에 대해 유의하지 않게 나왔지만,발신 차원에서는 유의한 유형들이 일부 있었다.이 결과를 통해 동료 피드백의 경험 자체가 글쓰기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타인의 글을 피드백하는 행위 자체가 글쓰기 과정에 대한 메타적 인식을 확장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peer feedback on idea generation in the writing process. To this end, we investigated how the number and type of middle school students’ peer feedback in the generating stage, and how the receiving and transmitting patterns of peer feedback affect the quality of the draft and the awareness of students’ activities. 176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erforming the book review writing task, they conducted peer feedback during the idea generation process, wrote the draft, and conducted a survey on peer feedback activities. Friendly feedback (based on the nature of feedback), content feedback (based on the feedback area), and commentary feedback (based on the content of feedback) accounted for the largest number, respectively. When classifying based on the content of feedback, the influence of receiving peer feedback was not significant for all feedback types. However, giving peer feedback yielded a significant influence for certain feedback content types. From these results, we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peer feedback itself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writing ability and that the act of responding to other people’s writing itself may expand the meta-perception of the writing proces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