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Korean society's perception of MBTI using big dat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영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7호, 797~80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최초 MBTI검사가 이슈가 된 이후 2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관심이 높으며, 단순한 심리검사 이상의 사회현상을 보이고 있어서 한국사람들의 MBTI에 대한 주요 이슈와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방법 웹 크롤러 기능을 활용하여 ‘MBTI’는 2022년 2월부터 3월까지 수집하였고 ‘성격유형검사’는 2021년 11월부터 2022년 3월까지 수집한 네이버 뉴스 기사 타이틀을 중심으로 수집하고, 불용어를 제외한 총 3910개의 키워드를 사용하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단어빈도 분석 결과, MBTI와 관련된 상위 핵심 키워드는 자격증, 교육, 증상, 유재석, 결과, 장애, 극복, 공부, 상담, 우울증, 성향, 한국, 강의, 실시, 운영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잠재 디리클레 할당 모형(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기반의 토픽 모델링을 분석한 결과 네 가지 상위 주요 주제는 ‘관련 상담 프로그램’으로 실제 MBTI와 관련되어 운영 중인 상담 프로그램들에 대한 종류를 알 수 있었다. ‘실제 치료 및 전문가로서의 활용방안’은 청소년이 높은 빈도로 나타나면서 전문가로서 실제 치료과정에서 사용되는 내용으로 나타났다. ‘MBTI 전문가 과정’은 방송에서 이슈화된 검사가 정식 검사가 아니다 보니 한국 MBTI연구소의 정식 라이센스 받은 MBTI 검사에 대한 관심으로 나타났다. ‘연예인과 이슈’는 MBTI가 사람들의 관심을 받다 보니 연예인과 관련된 이슈 기사들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사람들의 MBTI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활용한 시사점과 연구의 의의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ain issues and meanings of Korean people's MBTI because two years after the first MBTI test became an issue using big data, and it shows more than just a psychological test.
Methods Using the web crawler function, “MBTI” was collected from February to March 2022, and “Personality Type Test” was collected around ‘Naver news’ articles collected from November 2021 to March 2022,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total of 3,910 keywords excluding disused words.
Results First, the terminal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the top key keywords associated with MBTI were certification, education, symptoms, Yu Jae-seok, results, disorders, overcoming, study, counseling, depression, disposition, Korea, lecture,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opic modeling based on the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the four major topics were ‘related counseling programs’, which showed the types of counseling programs operated in relation to the actual MBTI. ‘Actual treatment and utilization plan as a professional’ appeared to be used in the actual treatment process as an expert as the youth appeared in high frequency. The MBTI Expert Course was not a formal psychological test in the broadcast, so it was interested in the official license MBTI inspection of the Korea MBTI Institute. ‘Celebrity and Issue’ appeared as an issue related to entertainers as MBTI received people's attention.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perception of Korean people's MBTI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using i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