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lf-assessment for physician competencies in A medical school graduates cohor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주현 권효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7호, 559~57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15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일개 의과대학 수준에서 졸업생을 대상으로 대학이 설정한 의사의 역량에 대한 자기평가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대 졸업생의 역량 발달과 의과대학 교육의 영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 연구는 최근 10년의(2012~2021년) 졸업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졸업 연도를 기준으로 10개의 코호트를 구성하였다. 졸업 후 진로와 6개 영역의 의사 역량에 대한 자기평가를 조사하였고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과 T-검정을 수행하였다.
결과 A 의과대학의 졸업생은 졸업 연차가 오래될수록 자신의 의사 역량을 대체로 높게 인식하였지만, 졸업 후 8년 이상의 집단에서는 역량에 대한 자기평가 결과가 다소 둔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의사의 수련 과정에 따라서는, 모든 역량에서 전문의 집단의 자기평가 결과가 가장 높았다. 졸업역량이 설정된 이후의 졸업생 코호트에서는 6개 역량에 대한 자기평가 결과가 역량 간에 대체로 균형을 이루고 있었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의과대학 졸업생 대상의 역량 발달 탐색 활동의 교육적 함의를 파악할 수 있었다. 수집한 정보는 의사의 평생교육을 계획하고 의과대학 교육의 영향을 파악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졸업생의 정보를 추적하고 이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해석하는 활동이 지속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elf-assessment of physician competencies of medical school graduates and explore their competence development and the impact of medical school education.
Methods Medical school graduates in the last 10 years (2012-2021) were classified into 10 cohorts according to their graduation year. Participants completed a survey that investigated their career status after graduation and served as a self-assessment tool for competencies required of every physician. Frequency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Results The medical school graduates generally recognized their competencies higher as they got older, but the self-assessment results tended to be somewhat declined in the group of eight years or more after graduating. In the medical training course, the self-assessment of the specialist group was the highest in all competencies. In the cohorts, after graduation competencies, the self-assessment results for six competencies were found to be generally balanced.
Conclusions The study results have important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information on the graduate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lifelong learning for physicians, which can be used to examine the impact of medical school education after gradu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collect data and use it for all education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