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arents' Interest in School Life and Academic Interest on Children's Self-esteem: Focusing on the Mediated Effect of Children's School Adaptation and Happine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혜영 권정윤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7호, 201~2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학교생활 및 학업 관심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의 학교적응과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8)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에서 보호자 조사영역과 아동⋅청소년조사 영역의 연구변인에 모두 응답한 총 707명을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의 상관 계수로 알아보았고, 구조적 관계는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으며 직⋅간접효과 및 총 효과를 95% 신뢰구간에서 부트스트래핑(bootstrap)을 이용하여 양측검증(two tailed significance)으로 검증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부모 변인인 학교생활 관심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학업 관심도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아동 변인인 학교적응의 학교생활적응과 교사적응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과 행복감 간의 통계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학교생활 관심도는 ‘아동의 학교적응→아동의 행복감→아동의 자아존중감’의 경로로 완전매개하며 이 과정에서 아동의 행복감이 이중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학업 관심도는 ‘아동의 행복감→아동의 자아존중감’의 경로로 완전매개하여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행복감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다시금 확인시켜 주는 것이다. 때문에 아동의 행복감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다각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ed effect of children's school adaptation and happiness in the influence of parents' interest in school life and academic interest on children's self-esteem.
Methods For this,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2018) finally analyzed a total of 707 people who responded to both research variables in the parental survey area and the child and youth survey area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was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PCC), the structural relationship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an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nd total effects were verified by two-sided test using bootstrap in the 95% confidence interval.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cusing on self-esteem,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chool life interest, which is a parent variable,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interes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chool life adaptation and teacher adaptation in children's variables,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performance adaptation, peer adaptation, and happiness. Second, parents’ interest on school life mediated completely through the path of ‘children's school adaptation⟶children's happiness⟶children's self-esteem’, and in this process, children's happiness was found to be double mediated. It showed that parents' academic interest completely mediated and influenced the path of ‘children's happiness⟶children's self-esteem’.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once again that children's happiness is a factor influencing self-esteem. Thus, I would like to discuss various ways to improve children's happi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