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Korean Learners' Satisfaction and Affective Factors of Learning Korean by Telephon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연정 박지연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7호, 111~12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전화한국어를 이용한 한국어 학습자들의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전화한국어를 이용한 한국어 학습자 39명을 대상으로 전화한국어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을 조사하였다. 전화한국어를 이용한 후 가장 큰 효과를 본 언어적 영역이 무엇인지 조사하여 다중 응답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이후 학습자들의 개인적 요인인 불안, 흥미, 태도, 효능감과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이후 회귀 분석을 통해 만족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 요인과 만족도가 어느 정도의 영향력이 있는지 파악하였다.
결과 설문 결과, 학습자들은 ‘듣기, 읽기, 말하기’ 영역 중에서 ‘말하기’가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고 느끼며, 말하기 중에서도 발음 부분에 가장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개인별적 요인 중 효능감과 만족도와의 상관 관계가 가장 높았으며, 효능감이 만족도에 영향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이를 통해 전화한국어라는 플랫폼(platform)은 학습자들의 말하기 영역 중에서도 발음의 학습에 가장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의 효능감이 높을수록 전화한국어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이후 학습자들의 수업에서 효능감을 높이는 교수가 이루어져야 함을 미루어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focused on finding the satisfaction of Korean learners learning Korean by telephone.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9 Korean learners to find out the satisfaction of learning Korean by telephone. Multiple response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ich linguistic area of the learners was most affted by learning Korean by telephone. After tha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nxiety, interest, attitude, efficacy, and satisfaction, which are personal factors of the learners, was examined. Also,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if the factor with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affect the satisfaction of learning Korean by telephone.
Results In the survey, learners responded that they felt that ‘speaking’ improved the most among listening, reading, and speaking, and that they received the most help in the pronunciation aspect of speaking. In addition, among the individual factors of learners,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and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influenced satisfaction.
Conclusions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platform called ‘learning Korean by telephone’ is helpful for learning pronunciation from among the different areas of speaking.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the higher the learners' efficacy,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learning Korean by telephone, so it was found that a teacher of teaching Korean by telephone who is able to increase self-efficacy would be need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결론 및 제언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