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Bettelheim's Psychoanalysis Using Traditional Fairy Tal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오은순 안미인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7호, 41~5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전래동화를 정서장애 유아의 정신치료도구로 활용한 베텔하임의 정신분석학적 해석을 살펴보는 데 있다.
방법 베텔하임의 문헌 및 관련 연구물을 중심으로 문헌고찰하였다. 베텔하임의 생애, 전래동화와 아동 간의 관계 베텔하임의 정신분석적 해석을 중심으로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베텔하임의 정신분석학적 해석연구로 전래동화가 문학적 기능과 함께 정신의학적 치료매개체로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아동의 문제를 총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유아교육현장의 교사와 정신의학분야의 의료진과의 협력연구도 시도해볼 필요성이 있다.
결론 베텔하임에 의하여 전래동화의 영역이 넓어졌으므로 전래동화의 가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Bettelheim's psychoanalytic interpretation of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as a psychotherapeutic tool for children with emotional disorders.
Method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ocusing on Bettelheim's literature and related studies. Conclusions were drawn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study focusing on Bettelheim's life, the relationship between fairy tales and children, and Bettelheim's psychoanalytic interpretation.
Results It was found that fairy tales are effective as a psychiatric treatment medium along with a literary function through Bettelheim's psychoanalytic interpretation stud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y cooperative research between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medical staff in the field of psychiatry to solve children's problems as a whole.
Conclusions Since the field of fairy tales has been expanded by Bettelheim, it is necessary to continue various studies on the value of fairy tale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