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echnolog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혜인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7호, 15~2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10년간의 유아교사와 테크놀로지 관련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하여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는 테크놀로지의 유아교육현장 적용을 위한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 다양한 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10년간의 KCI 등재 학술지 논문 중, 1차로 유아교사, 2차로 테크놀로지 관련 주제어 검색을 통해 최종 116편의 논문을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 논문은 논문 게재 년도, 연구방법, 연구내용, 연구대상별 논문 게재 현황을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은 2021년 9월부터 12월까지 이루어졌다.
결과 연도별 논문 제재 추이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관련 논문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15년을 기점으로 하여 크게 증가하였다. 연구 방법 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은 설문지를 활용한 양적연구로 69.8%를 차지하였다. 연구 내용 부분에서는 테크놀로지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 대상은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를 포함한 유아교사에 대한 연구가 과반을 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연구와 교육의 실제 적용에 기초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echnology-related academic journals from 2011 to 2020. This work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application of technolog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oreover, based on this review, we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Researcher collected 116 Korean academic journal articles that cover some theor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echnology. Within each article, the following aspects were scrutinized: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method, research content, and the publication status of the papers by research object.
Results The number of papers dealing with this research topic increased substantially.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survey-based quantitative research accounted for 69.8 percent. The intervention effect of technology programs was a common theme for research content.
Conclusions This review provides a theoretical lens as to the current landscape o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echnology. The next generation of research can be further developed based on this review.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