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Coronavirus Anxiety,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원희 임혜숙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7호, 1~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코로나바이러스불안,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는 2021년 4월 8일부터 4월 15일까지 전국에 소재한 간호학과 재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코로나바이러스불안, 스트레스 대처전략, 긍정심리자본과 대학생활적응을 측정하는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거주형태와 전공만족도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대처전략, 긍정심리자본, 대학생활 적응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코로나바이러스불안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긍정심리자본 하위요인 중 희망, 낙관주의, 거주형태,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하위요인 중 문제해결중심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55.5%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 긍정심리자본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s of coronavirus anxiety,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college life adjustment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150 nursing students located across the country from April 8 to April 15, 2021.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measuring coronavirus anxiety, stress coping strategi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ollege life adjustment.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25.0 program.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ege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dence and major satisfaction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i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nursing students,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ronavirus anxiety. Third, factors influencing the college lif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were found to be problem-solving among the sub-factors of hope, optimism, living style, self-efficacy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among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ub-factors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55.5%.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hat can improv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for nursing students to adjust to college lif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