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NCS-supported Web Services in Junior College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표창우(Chang-Woo Pyo)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8 No.2, 105~11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NCS 지원 웹서비스를 분석하였다. 분석 범위는 국내 2, 해외 1 포털사이트를 NCS지원센터 등으로 검색하였다. 검색 후 도출된 12개의 전문대학의 NCS지원센터 웹서비스 지원을 분석하였다. NCS 지원 웹서비스는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NCS 지원서비스 현황분석, 둘째, NCS 지원사업 현황분석, 셋째, 대학별 차별화된 NCS 지원 웹서비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NCS 지원서비스는 NCS 지원사업 현황 서비스보다 양적 웹 페이지는 많이 있었다. 하지만 NCS 지원사업 현황 서비스는 NCS 지원서비스 보다 상세하고 실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 제시되었다. 차별화된 웹서비스는 각 대학마다 NCS 웹서비스 지원을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이 포함된 내용을 분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결과를 토대로 전문대학 교육을 위한 NCS 지원 웹서비스의 질적인 향상을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NCS-enabled Web services at colleges. The search scope was based on the NCS Support Center, etc. of the two domestic and one overseas portal sites. Support for the NCS Support Center web service from 12 Junior Colleges was analyzed after the search. There were three categories of NCS-enabled Web services. First, NCS-enabled service status analysis, second, NCS-enabled project status analysis, and third, junior college-specific differentiated NCS-enabled web service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NCS-enabled services had more quantitative web pages than NCS-enabled project status services. However, NCS-enabled project status services have been presented with more detailed and practical data than NCS-enabled services. Differentiated Web services were able to analyze what included efforts to maximize NCS Web service support for each Junior Colle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look forward to improving the quality of NCS-enabled web services for Junior College education.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및 제언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