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life history of Women with Mental disorders who Experienced divorce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홍미연(Mi-yeon Hong)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9 No.2, 317~32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구술자료 분석을 통해 이혼을 경험한 여성 정신장애인의 삶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치유적 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에는 우울증과 공황장애 진단을 받은 여성정신장애인이 참여하였으며 생애사 분석을 위한 텍스트는 구술자료 인터뷰로 구성했다. 텍스트는 Mandelbaum(1973)이 제안한 생애사 분석틀에 의거하여 ‘삶의 영역’, ‘전환점’, ‘적응’의 3가지 개념틀로 분석했다. 자료분석 결과 ‘삶의 영역’은 “버려진 아이”, “정신질환 발병”, “종교”, “범죄”로 분석했다. ‘전환점’ 분석에서는 “이혼”, “생이별”로 분석했으며, ‘적응’은 “합리화”로 도출됐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이혼을 경험한 여성 정신장애인의 삶의 치유적 개입 방안을 제안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more deeply the life of a woman with mental disabilities who experienced divorce through oral data analysis and to derive a therapeutic plan. Women with mental disorders diagnosed with depression and panic disorder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text for life history analysis consisted of oral data interviews. Based on the life history analysis framework proposed by Mandelbaum (1973), the text was analyzed into three conceptual frameworks: ‘Dimensions’, ‘Turning point’, and ‘Adaptation’.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the ‘Dimensions’ was analyzed as “Abandoned child”, “The onset of mental illness”, “Religion”, and “Crime”. In the ‘Turning point’ analysis, “Divorce” and “Life separation” were analyzed, and “Adaptation” was derived as “Rationaliz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therapeutic intervention plan was proposed for the life of a female mentally disabled woman who has experienced divorce.
목차
1. 서 론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