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dvanced development of the core competency diagnosis tool for college students for future-oriented competency education: Focusing on the case of Y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길효정(Hyo-Jung Gil) 박복남(Boc-Nam Park) 안종일(Jong-Il Ahn)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0 No.1, 69~8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역량 중심 교육 실행을 위하여 전문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 진단 도구를 고도화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과 구성원 의견수렴, FGI, 전문가 자문을 통해 기존 진단 도구를 분석하고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문항은 총 46문항이었으며 이는 내용 타당도로 검증하였다. 이후 재학생 중 희망자 38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성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AMOS 18.0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6개 핵심역량으로 구성된 30개 최종 문항을 도출하였다. 핵심역량 진단 도구는 재학생의 역량을 진단하여 향후 미래지향적 역량교육의 실행과 평가, 질 관리 도구로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vanced and develop a core competency diagnosis tool that junior college students must have in order to implement competency-oriented education to nurture talents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and to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o this end, the existing diagnostic tools were analyzed and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rived through analysis of prior research, collecting opinions of members, FGI, and expert advice. A total of 46 items were derived, which were verified as content validity. Afterwards,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80 applicants among current student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nstruct,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MOS 18.0. As a result, 30 final questions composed of 6 core competencies were derived. The core competency diagnosis tool is expected to be actively used as a future-oriented competency education execution, evaluation, and quality management tool by diagnosing the competencies of current students.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과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