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icrovascular Changes of the Non-surgical Eye after General Anesthesia 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대성 손용석 홍림경 오미경 조희윤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3,number8, 669~68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15
국문 초록
목적: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OCTA)을 이용하여 전신마취 이후 비수술안의 망막 및 맥락막모세혈관에 나타나는 변화를 알아보고자한다.
대상과 방법: 망막 수술 환자 40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했다. 수술 전후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과 안과적 검사를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했다. 전신마취 중 활력징후 값을 확인하였고, 수술 중 저혈압(평균동맥압 <70 mmHg)이 발생한 경우를 분석하였다. 망막 표층모세혈관총 및 심부모세혈관총의 혈관밀도, 맥락막모세혈관층 관류 공극, 맥락막 및 망막 두께 변화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했으며, 마취 변수 및 만성질환 유무에 따른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심부모세혈관총의 밀도는 전신마취 후 유의하게 증가됐다(p<0.05). 수술 중 저혈압 및 만성질환 유무에 따른 환자군의 비교분석에서 수술 전후로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마취 시간 및 맥락막모세혈관 관류 공극의 평균 크기는 낮은 음의 상관관계(p<0.05, r=-0.32)를 보였다. 수술 중 혈압 변동폭은 심부모세혈관총 혈관밀도 및 맥락막 공극 계수와 낮은 음의 상관관계(p<0.05, r=-0.38; p<0.05, r=-0.37)를, 평균 크기 및 신호 공극(p<0.01, r=0.41; p<0.01, r=0.44)과는 각각 낮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는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이용하여 전신마취가 망막 및 맥락막 모세혈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최초의 연구이다. 전신마취 후에 환자의 심부모세혈관총의 혈관밀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수술 중 혈압 변동이 맥락막 모세혈관의 변화와 연관성이있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chorioretinal vascular changes in the non-surgical eyes of patients who underwent vitreoretinal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CTA).
Methods: Data from 40 patients who underwent retinal surgery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Ophthalmologic examinations (including OCTA) were performed in the morning before and after surgery. The presence of intraoperative hypotension (IOH; mean arterial pressure <70 mmHg) was determined based on medical records. The vessel density of superficial and deep retinal capillary plexus layers, choriocapillaris void features, and thickness of the choroid and retina were quantified after image processing. Associations between retinal OCTA parameters and anesthesia profiles were also assessed.
Results: DCP vessel density was increased after general anesthesia (p < 0.05). Among the patients who experienced IOH,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chorioretinal vessel parameters before and after general anesthesia. Also, we did not observe a difference in chorioretinal vessel parameters after general anesthesia between healthy patients and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including hypertension and diabetes (p > 0.05). The duration of anesthesia and average size of the choriocapillaris void (p < 0.05, r = -0.32), and the intraoperative mean arterial pressure (MAP) fluctuation and DC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linear correlations (p < 0.05, r = -0.38). The choriocapillaris void size and intraoperative MAP fluctuation also display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p < 0.05, r = -0.37), while the average size signal void showed a weak positive linear correlation (p < 0.01, r = 0.41; and p < 0.01, r = 0.44,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is the first study to assess the effects of general anesthesia on chorioretinal vessels using OCTA. The Vessel density of the DC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non-surgical eye after total vitrectomy under general anesthesia. Furthermore, we found a correlation between MAP fluctuation and choriocapillaris void features. More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and expand on these observation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