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icture Book as Text of Biblio Drama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이봉섭(Bong-Seob LEE)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9권4호, 229~24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비블리오드라마의 텍스트로써 성서가 아닌 새로운 텍스트를 통해 비블리오드라마 수련을가능하게 하고, 참여자들이 텍스트에 대한 부담감이 없이 자신의 삶과 텍스트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경험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림책을 비블리오드라마의 텍스트로 사용하면 성서에 대한 신앙적 부담감 없이 비블리오드라마의 해석학적 수련을 할 수 있고 참여자들은 신앙적인접근에서 보다는 가볍게 비블리오드라마에 참여할 수 있다. 그림책 텍스트는 글과 그림의 상호작용때문에 다양한 의미의 해석이 가능하게 하고, 글 텍스트의 압축성은 참여자 삶과의 상호작용을 깊이있게 하며 그림 텍스트는 신체 활동을 할 때 이미지의 모델을 제시하여 참여자의 부담을 줄일 수있다. 비블리오드라마의 텍스트로써 그림책의 활용 가능성과 그림책 텍스트 해석을 위한 해석학적방법론을 후속 연구로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able the training of biblio drama through new texts ratherthan biblical texts as texts of biblio dramas, and to lay the foundations for the experience ofparticipants to interact with their lives and texts without religious burden. By using picturebooks as texts of bibliodramas, the interpretative training of bibliodramas can be done withoutreligious burdens on the Bible, and participants can participate in bibliodramas lightly ratherthan religious approaches. The picture book text enables the interpretation of various meanings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xt and the picture, the compressiveness of the text makes theinteraction with the participant's life in depth, and the picture text can reduce the burden of theparticipant by presenting the model of the image when the physical activity is done.Althoughthe possibility of using picture books as texts of biblio dramas is open, the hermeneuticmethodology for interpreting picture book texts is suggested as a follow-up study.
목차
Ⅰ. 서 론
Ⅱ. 비블리오드라마의 텍스트
Ⅲ. bibliodrama의 텍스트인 그림책의 가능성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