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on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Focusing on Undergraduates who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손세영(Se-Young SON) 김명식(Myung-Shig KIM)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9권4호, 179~19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의 외상 후 부정적 인지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있어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고 322명의 자료를 분석에활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외상 후 부정적 인지는 외상 후 성장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외상 후 부정적 인지가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다차원적 경험회피 하위요인 중 회피행동은 외상 후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고, 주의분산/억제는 외상 후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회피행동과 주의분산/억제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으며,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해서는 회피행동을 감소시키고, 주의분산/억제를 적절히 증진시킬 수 있는 심리학적 개입의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on therelation between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 and growth of university students withinterpersonal trauma. It administe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o 400 male and femaleundergraduates enrolled in the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at the Jeonbuk area, and then,analyzed the data of 322 studen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e following: First, Post-TraumaticCogni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PTG). Second, in the processthat the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 influenced on PTG, the behavioral avoidance, one of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sub-factors, negatively influenced on PTG, but thedistraction/suppression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PTG. So the mediating effect of thebehavioral avoidance and the distraction/suppression was verified, and the results suggested theneed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s to reduce behavioral avoidance and to appropriatelyincrease the distraction/suppression for university students having experienced the interpersonaltrauma’s PT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for the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