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Online Learning Support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Academic Probation College Students: Focused on Strengths and Mental Coaching Techniqu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종연(Jongeun Lee) 김영아(Young-ah Kim) 조정자(Jeong-ja J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6호, 771~79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강점코칭과 멘탈코칭 기법을 중심으로 학사경고자 대학생을 위한 온라인 학습지원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사경고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에 만족했는지와 학업성취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었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김창대(2011)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과 소수연(2020)이 제안한 화상상담 운영 매뉴얼 절차를 적용하여 총 5회기, 각 회기별 50분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사경고자 대학생 86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에 대해 어느 정도 만족해 하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 직후 학기에 수강신청한 60명을 대상으로 학점이 향상되었는지를 두 종속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사경고자 대학생들은 프로그램 운영 등 전반에 대해 비교적 높은 만족(4.2점)을 보였으며, 대학생활에 적응하는 데 중요한 5가지 영역(자기관리, 대인관계, 진로, 학업, 전공 및 학사정보 이해)에서 도움을 받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80%의 대학생은 다음 학기에 수강한 과목의 학점이 향상되어 학사경고를 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강점코칭과 멘탈코칭 기법을 중심으로 개발한 온라인 학습지원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학사경고자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online learning support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academic probation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strength coaching and mental coaching techniques, and to explore their satisfaction on the program and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improving their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 suggested by Chang-Dai Kim(2011) and video counseling operation manual suggested by Soo-Youn Soh(2020), which is composed of 5 sessions, and each session took 50 minutes. Next,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86 academic probation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o measure their program satisfaction. And their grade point averages were analyzed with two dependent-sample t-tests to see if they improved with 60 students enrolled in classes of the semester right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probation college students showed high satisfaction(4.2) with the program. Second, it was showed that they received help in 5 main areas of college life adjustment(self manage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reer, academic, understanding of major and academic information). Third, 80% of the students enrolled in classes of the semester right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mproved in grade point average of the semester and did not receive academic probation.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college life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academic probation college students. Also, the discussion and implications based 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ovided for the operation of online learning support group counseling programs using strength coaching and mental coaching techniqu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