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forgivene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이화(Kim, E-Wha) 조용주(Jo, Yong-Jo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6호, 407~42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정 성인애착을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로 구분하여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에서 자기자비와 용서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육현장과 심리상담 현장에서 불안정 성인애착으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수용 능력과 자기 치유능력을 향상시켜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세 이상의 성인 58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고, 질문지의 구성은 성인애착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자기자비 척도, 용서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 그리고 Mplus 7.3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심리적 안녕감을 얻기 위해서 성인애착의 차원에 따라 용서의 접근방식이 달라야 하며 용서 이전에 긍정적 요인인 자기자비의 필요성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애착불안은 자기자비와 용서의 순차적인 이중 매개를 통해서만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회피는 자기자비나 용서 각각의 단일 매개를 통해서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고, 자기자비와 용서의 이중 매개효과를 통해서도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의 관계는 첫째, 성인애착, 심리적 안녕감, 자기자비, 용서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애착불안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기자비, 용서는 둘 다 단일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자기자비와 용서의 이중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애착회피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매개효과가 확인되었고 용서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자기자비와 용서의 이중 매개효과 또한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성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통해 성인의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forg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attachma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consisnting adult-attachment scal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self-compassion scale and forgiveness scale. The collected datea was analyzed with SPSS 35 and Mplus 7.3. Results This study confirms the need for varying approaches to forgiveness depending on adult attachment dimensions and the importance of attaining self-compassion, a positive factor, before forgiveness to achieve psychological well-being. Attachment anxiety improved psychological well-being only through a sequential, double mediation by self-compassion and forgiveness. Conversely, attachment avoidance can boost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a simple mediation by self-compassion or forgiveness and also can enhance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double mediation by self-compassion and forgiveness. The factors were associated in the following way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dult attachment, psychological well-being, self-compassion, and forgiveness. Second, self-compassion and forgiveness did not have simpl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owever, self-compassion and forgiveness had double mediating effects. Third, self-compassion and forgivenes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both had a double mediating effect as well.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discuss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is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