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ICT: Focusing on ICILS 2018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선경(Sun-Kyoung Kim) 김현경(Hyun-Kyu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6호, 89~10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연구(ICILS) 2018’에서 조사한 정보 통신 기술(ICT)에 대한 자아효능감, 인식, 진로에 대한 기대와 같은 정의적 영역에 대한 설문 결과를 컴퓨터⋅정보 소양 수준과 성별, 컴퓨터⋅소프트웨어 교육 경험과 같은 학습자 특성에 따라 분석하고 국제 비교를 통해 다른 참가국들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확인함으로써 우리나라 중학생의 ICT 관련 특성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전국 150개 중학교의 2학년에 재학 중인 2,875명의 학생들(남학생 1,497명(52.1%), 여학생 1,378명(47.9%))을 대상으로 컴퓨터 기반 평가를 통해 컴퓨터⋅정보 소양을 평가하고, ICT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정보 및 학생의 특성(성별, 나이)과 같은 맥락적인 정보와 학생의 태도와 인식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결과 ICT 기반 학습 과제를 위한 작업에 대해 잘 수행할 수 있다고 응답한 학생의 비율이 ICILS 2018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고 특히 ‘데이터베이스 생성’에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학생들의 일반 응용 프로그램 및 전문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자아효능감도 ICILS 2018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ICT가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및 부정적 영향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참가국과 비교하여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ICT 관련 진로에 대한 기대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기대치를 보여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컴퓨터⋅정보 교육에서 학습자 간의 격차를 줄이고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컴퓨터⋅정보 교육의 질을 제고하고 미래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실효성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affective factors such as self-efficacy, perception, and career expectation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which were surveyed in the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ICILS) 2018’, were analyzed. In particular, we focused on the effects of student characteristics such as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CIL) level, gender, and computer/software learning experience. Furthermore, these data were used to identify the ICT-related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by identify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other participating countries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 Methods A total of 2,875 students (1,497 male (52.1%) and 1,378 female (47.9%)) enrolled in the second year of 150 middle schools nationwide participated in the computer-based assessment.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was measured through self-report data. The information of educational use of ICT and student characteristics (gender, age), and student attitudes and percept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responded that they were able to perform well on ICT-based learning tasks was lower than the ICILS 2018 average. In particular, ‘database creation’ showed the lowest rate. Also, students' self-efficacy for general and specialized applications was lower than the ICILS 2018 average. The perception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ICT on society were higher than other participating countries. In terms of expectations for ICT-related careers, male students showed higher expectations than female students, indicating a gender difference. Conclusions Implications for effective approaches for nurturing future digital talents that can maximize the effect of education by improving the quali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education and reducing the gap between learners were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