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Type of Foundation of Japanese-Korean Entrepreneur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임영언(Youngeon Yim) 이석인(SEOK IN LEE)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0권 제3호, 382~402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1.30

국문 초록
최근 재외동포가 중요한 민족자산으로 재조명되는 상황에서 재일코리안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고 있다. 하지만 일본의 동화정책이나 민족차별 뿐만 아니라 한국정부의 무관심과 현지 조사의 제약으로 인해 재일코리안 기업가나 기업활동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았다. 이 논문은 최근 1년간 현지에서 실시한 재일코리안 기업에 대한 우편조사와 심층면접조사를 바탕으로 재일코리안 기업의 경영활동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하명생(2003)이 제안한 재일코리안 기업가의 창업 유형화를 비판하고, 창업동기별로 유형화를 제안한 후 창업유형별 특징과 사례분석을 시도하였다. 재일코리안 기업가를 창업동기별로 유형화한 결과, 생계형, 권유형, 승계형, 재능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제일코리안 1세와 3세의 경우는 재능형이, 그리고 재일코리안 2세의 경우는 생계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연구결과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Overseas Korean included Japanese-Korean was recognized as ethnic assets by government. But there is a few researches about Japanese-Korean entrepreneurs and Korean firms in Japan because of assimilation and discrimination policy by Japanese government, indifferentism of Korean government, and difficulties of field study. Through mail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this study analysed business conditions with the field data collected from Korean firms in Japan. We criticized Ha's classification on Japanese-Korean entrepreneur and suggested a new classification on a foundation motive basis. There are four types of foundation such as livelihood type, inducement type, succession type, and talent type. While talent type was the most frequent type in 1st and 3rd generation, succession type was the most frequent type in 2nd generation of Japanese-Korean. This study analyzed some distinctive features and representative case of foundation classification. In conclusion we proposed some implications and the next research plan.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조사방법 및 표본의 특징
Ⅳ. 재일코리안 기업가의 유형화
Ⅴ. 재일코리안 기업가의 창업 유형별 사례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