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자유무역협정이 세계 콩 무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문상영(Moon Sang Young)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1권 제1호, 11~3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출국과 수입국의 인위적인 무역장벽(관세) 제거가 세계 콩 시장에서 미국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콩 무역에 있어서 수입국에서 부과되는 관세와 수출국에서의 보조금 정책을 이해하고 이의 폐지가 미국의 경쟁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한 spatial equilibrium model이 개발되었다. 이 모델은 전통적인 spatial equilibrium model에 spatial optimization model를 접목함으로써 두 모델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무역장벽의 제거는 콩 시장에서의 거래량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콩 가격의 변화는 수입국의 수입수요와 수출국의 수출공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미국의 콩 수출 증가양은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의 그것보다 크다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미국의 콩 수출 공급탄력성이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의 그것보다 크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acts of the elimination of all trade barriers in exporting and importing countries on the United States' competitiveness of soybean export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is designed to undertake to estimate the impacts of tariffs and subsidies given by exporting and importing countries and elimination of these on the world soybean trade and the United States' competitiveness. Elimination of trade barriers results in an increase in the equilibrium quantities traded in the world soybean market. The elimination of trade barriers increases the equilibrium quantities traded of soybeans because changes in soybean prices positively affect import demands in importing countries and export supply in exporting countries. The increases in soybean quantities exported in the United States are much more than those of Argentina and Brail. This is primarily because export supply elasticity for soybeans in the United States is much more elastic than it is in Argentina and Brazil.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ology
Ⅲ. Data
Ⅳ. Empirical Results
Ⅴ. Summary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